방열판 컨트롤러만 지우면 되는 건데 중간에 나눠져있어서 괜찮은 것 같고 방열판이 작아져서 컨트롤러 온도 내려가는게 미미 해 줄 것 같은 느낌도 드는 것도 있더라고요. 몇도 정도이 세상에서 몇도 가져 갈지는 모르지만 방열판에 판다라 버리면 어느정도 내려간다고 생각합니다. 올해는 따로 드라이버 설치 하지 않아서 요즘은 어떤지 모르겠지만 삼성에는 nvme express driver 설치 시에 온도가 설치하지 않을 때 비의 약간 높아지는 것도 있더라고요.
![](https://blog.kakaocdn.net/dn/b2fkBx/btqNNhnmT2L/xqX0T3BmrYWi1CIHox09L1/img.jpg)
드라이버가 있다니 생각보다 몰랐던 부분이 많이 있고 마이크론처럼 램을 캐시로 지우는 예배 기둥도 있는지 찾아 봐야겠더라고요. 마이크론 캐쉬가 어떤 방식으로 사용 안 해서 모르겠지만 삼성도 매지션 프로그램의 SSD 경우 디스크 관련 설정이 있었던 걸로 기억나네요.
![](https://blog.kakaocdn.net/dn/xKGnF/btqNMM2ggbJ/To0PKnIDWCId6MfFBo7ZD0/img.jpg)
어떤 프로그램인지 한번 설치해 본게 전부라서 정각에 확인해보지는 않았습니다. 일정 용량을 메모리캐시로 만들어서 입출력 속도를 더 올려 주는 건데 nvme가 아닌 일반 다 탔어 SSd 캐시 관련해서 설정하면 그런 결과가 나오기도 하고 물론 벤치로 테스트 하는 건 동일 데이터 읽기 쓰기 반복이라 효율을 극대화 된 것처럼 보이는 것 뿐이고 절대 그 정도는 아니지만 캐치 설정으로 성능체감 있다는 것도 있다고 하네요.
![](https://blog.kakaocdn.net/dn/bmDtfP/btqNQb70gob/W52BlLlezUFSj7RabbU9Zk/img.jpg)
그건 매지션에 있는 rapid 모드 같은데 효과가 있긴 한가 봅니다. 위치에 따라 다른 그냥 있고 없고의 차이가 어느 정도 있는 것 같더라고요.
![](https://blog.kakaocdn.net/dn/pHOzo/btqNMM2ggh3/pG7ZoJufUUyUMocHGSs6aK/img.jpg)
시간을 두고 천천히 진행해 가면 될 것 같고 일단 어느 정도 알아가는 시간을 가져보는 것도 괜찮다고 생각합니다. 컴퓨터 부품이나 관련된 정보는 많이 안 알아두면 도움이 되는 부분이 있겠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