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IT,인터넷

메인보드 쿨러만 직접 설치해서 혹시나

가끔 보면은 쿨러를 설치 하는게 좋은 경우가 있는데 CPU 메인보드 쿨러만 직접 설치해서 혹시나 한번 열어보았더니 다시 조립한 상태였고 서멀구리스 절반 정도 듣고 있는데 쿨러는 나사가 더 이상 힘으로 안주어질정도로 꽉 조여 있더라구요. 그게 문제일 수도 있는데 CPU 쿨러 나사 1개까지 조이면 CPU가 영향을 받을 수 있지 않을까라는 생각이 들고 일반적으로 공랭쿨러는 장력을 생각해서 적당히 세 번 정도 돌려 주면은 모든 클로바 적당하게 맞게 들어가겠지요.

그리고 서멀구리스 적당하게 발라야 하는데 쿨러가 안 되게 잘 잡아야 한다는 얘기지요. 어느 정도 양인지에 대해서는 알아본다면 충분히 파악할 수 있는 부분이고 쿨러가 제대로 장착되었는지 그걸 알아야 한다는 거죠. 어차피 인텔도 마찬가지고 14나노 공장에 코어 여섯 개 들어갔다고 하던데 선물을 너무 많이 받은 건 아닌가! 싶기도 하고 쿨러 장착 해보는 것 밖에 방법이 없을 것 같더라고요.




그런데 쿨러는 이전에나 지금이나 큰 차이가 없지 싶은데 채팅 하는 거에 대해서 좀 더 참고 해 봐야 하는 부분도 있고 2종컬러 여전히 가지고 있다면 장착 테스트 해 보는 것도 있고 am4 지원 안 할 수도 있기 때문에 변한 김만 찾아 보면 되는 것도 없겠더라구요. pbo만 끄면 되는 건 줄 알았는데 CPb가 켜져 있으면 마음이 없다는 걸 알게 되었고 지금은 TV 끄고 램 오버 한 상태로 게임 한다면은 받는 거에 있어서 괜찮은 것 같고 인터넷도 하고 있는데 40도 정도 유지되는 것 같더라고요.




쿨러가 800rpm 정도면 괜찮은 수준이라고 생각되더라구요.




아무튼 이래저래 잘 생각해 본다면 무난하게 사용할 수 있는 부분도 있기 때문에 적당히 사용하자라는 얘기지요.

특별히 하는 것도 없는데 이런 저런 다양한 정보를 얻어서 적용해본다면 오작동에 있어서 어느 정도 대처하지 않을까 싶은 생각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