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인터넷 (256) 썸네일형 리스트형 기존 하드디스크를 odd 자리에~ 친구가 사용하는 노트북이 있다고 해서 거기에다가 SSD로 교체 하고 싶다는 이야기를 들었는데 관련돼서 궁금해지는 부분도 있었습니다. 노트북을 6년 가까이 사용 하다 보니까 너무 늦어지는 것 같아서 HDD 대신에 SSD로 교체 하려고 한다는 그런데 대충 검색해보니까 SSD HDD 자리에 그리고 HDD는 odd 룸에 장착할 수 있는 것 같더라고요. 근데 직접 SSD를 가져 와서 맡기려고 하는데 아무거나 자면은 호환이 안 될 수도 있다고 합니다. 크기는 크게 작업하는 건 없고 영상 보거나 기존에 하드에 같이 설치되어 있는 용장 정도면 충분할 것 같은데 용량 그리고 호환성에 대해서 생각해 보게 되네요. 그냥 하드디스크 자리에 그대로 연결하면 되고 아무래도 이걸 왜 가져 가냐고 동영상이라도 보면은 충분히 쉽게 접.. 설치 가능 여부를 판단해야 되고 컴퓨터가 윈도우10으로 사용하는 운영체제가 윈도우 7에서 10으로 업그레이드 진행하려고 하는데 아무래도 관련되어서 이것저것 알아봐야 하는게 좀 있더라고요. 하드웨어 사양에 따라 설치 가능 여부를 판단해야 되고 컴퓨터가 윈도우 10 설치 가능한지 판단할 수 있는 관련된 프로그램이 있는지 모르겠지만 하드웨어로 인해 설치가 불가능할 경우 어떤 경우가 있는지 참고 해봐야겠지요. 윈도우 설치 깔려있다면 딱 설치할 수 있다고 생각하면 될 겁니다. XP 깔려 있던 컴퓨터도 윈도우 10으로 설치되었는데 당연한게 생각하면 되겠지요. 예전에는 동네 관련해서 엄청 오래된 것 같은데 아무래도 윈도우 10 설치 했던 기억이 나긴 합니다. slic 버전별로 골조가 대응방법이 있었어서 관련해서 알아보다가 생략하는 경우도 있는데 윈도우버전과 slic 버전.. 기본만 해볼까 생각 중이기도 한데 3200클럭 오고 해서~ 집에 사용하고 있는게 아무래도 4690k 어느정도 버벅이는 계좌로 있어서 렉 걸리는게 느껴지더라구요. 그래서 컴퓨터 업그레이드 생각하고 있었는데 그 중에서도 3600x로 업그레이드 생각하게 되더라고요. 메인보드는 아수스 tuf로 갈 생각인데 오버클럭을 한 번도 안 해봐서 오버 쪽에 지식이 없다 보니까 라이젠 사용하려면 레노버는 거의 필수라고 들어서 어느 정도 해 볼 생각이 들더라고요. 그게 욕심은 안나고 어느 정도 기본만 해 볼까 생각 중이기도 한데 3200클럭 오고 해서 사용하면 될까 싶은 생각도 듭니다. 3200 amd랑 마찬가지니까 쉬울겁니다. 오버라고 할 정도니 오버 하는 방법을 검색하면 웬만하면 쉽게 접근할 수 있지 않을까라는 이야기 또 있더라고요. 삼성 3200g 남아 인텔 10세대 멤컨 이기.. 노트북 전원 단자 그러니까 어댑터에 접촉불량이! 예전에 노트북 충전기가 문제가 있어서 이리저리 알아보고 있었는데 신형 노트북에 있는 충전기를 이용해도 문제가 그대로더라구요. 노트북 연결하는 부분을 위로 올려야 만 충전 신호가 들어오고 건드리지 않으면 충전 신호가 다시 꺼지는데 검색해 봐도 노트북 기종 보내 영상도 있고 충전기 꽂는 부분인데 분해할 수 없고 어떻게 건드려야 할지 모르겠는 경우가 있더라고요. 다른 곳에 검색해보니까 납땜 하라는데 어떻게 납땜 해야 될지도 모르는 경우도 있습니다. 컴퓨터쪽 전원 단자 그러니까 어댑터가 연결하는 곳에 접촉 불량인 것 같은데 노트북 그랬으면 가장 말썽 많이 일으키는 부분이라고 합니다 납땜이 떨어졌을 수도 있고 단자 자체가 접촉 불량이 날 수도 있으니 관련된 지식이 없다면 사제 수리 맡겨야 할 건데 얼마 나올지는 .. 하드디스크 연결하는 곳에 SSD로 연결도! 컴퓨터가 어느 정도 누릴 수 있는 같아서 변화를 줘야 되겠다는 생각이 오늘 하루종일 드는 것 같았습니다. 어떻게 변화를 주가 생각해보다가 업그레이드로 갈지 아니면 그냥 새로 조립해서 성능을 높이는 걸로 갈지 생각해 보게 되었는데 사용하는 컴퓨터가 SSD 128기가 연결할 수 있을까 싶은 생각도 듭니다. 하드디스크 달 수 있는 듯 SSD는 연결해 보지 않은 것 같고 하드디스크 연결하는 곳에 SSD로 연결 가능한 케이블이 있는지도 확인 못 하고 있네요.. 컴퓨터 ssd 달 수 있는지 한번 체크해 봐야 할 것 같습니다. 너무 오랜시간 동안 컴퓨터를 업그레이드가 하지 않고 그냥 방치해 주다 보니까 요즘 들어서 속도가 든든해진 나는 걸 느끼게 되는 것 같더라고요. 당연히 달 수 있을 것 같고 지금 sata2 밖에.. 접지 라인이 없이 멀티탭 접지가 되지 않았을 것 집에서 전기 이용하다보면 멀티탭을 사용 해서 저지에 관련되어서 알아 보는 경우가 있습니다. 비접지를 접지법 만들어주는 멀티탭 있다고 하는데 몇 그 멀티탭으로 제품이 있어서 살고 있는 집이 전기가 접지 라인 자체가 없다고 생각하는 경우가 있고 벽에서 나오는 라인이 2가닥 밖에 없는 다세대주택 있을 겁니다. 아무튼 비접지 다 보니까 컴퓨터 본체 케이스에서 흐르는 전기의 증상이 있는데 나름대로 적재 볼만한 방법이 어떤 것들이 있는지 구장에 보게 되기도 하지요. 접지 멀티탭이 진짜 접지가 된다면 괜찮게 생각해서 구성을 하면 될 것 같고 일단은 몇 자리 밖에 없다는 점 그리고 수평으로 되어 있어서 몇도 정도 기울여져 이건 틀어져 있어서 멀티탭 빼 비해 불편한 점이 있는 부분도 있다고 생각합니다. 중요한 거는 접지.. 인텔은 삼성 램 8기가 2개 꼈는데 오버해도 요번에 라이젠 5 3500u x 듀얼채널 메모리 그리고 지포스 rtx 2070 그래픽카드 테스트 진행 안 벤치 보게 되었는데 제조사마다 원래 먹어 하는 방법이 정리되어있더라구요. 오버 하게 되면 게임도 성능 떠오르는 건 물론이고 작업 성능도 현상이기 때문에 참고 해볼만한 내용인 것 같습니다. 인텔은 삼성 램 8기가 2개 꼈는데 오버해도 좋나! 싶은 생각이 드네요. 인텔도 WM 오버 해 주면 좋은데 다만 메인보드는 제트보드일겁니다. 이거 참 설명하기 까다롭기도 하고 이해시키기 어려운 문제인데 가장 기본적으로 알아야 하는 것은 메모리오버클럭의 성능 향상은 기본적으로 애매한 성능향상이 아니 오버클럭에 의한 성능 향상이라고 합니다. 내용과 시피유는 함께 사용하는데 예를 들어서 램을 3대 40에서 1대 16으로 .. 케이블도 문제지만 하드디스크 체크 프로그램도! 하드디스크 이래저래 관리하다보면 가끔 이상한 현상이 생기기도 하는데 장치관리자에서 사라지는 일이 생기기도 하더라구요. 관리하는 PC 둘 중에서 요즘에 갑자기 D 드라이브가 사라지는 일이 생기고 있는데 자주 생기는 일은 아니지만 물리적으로 하드디스크를 드라이버 뒤로 설정 해 놓고서는 컴퓨터 드린다는 몇 개의 제품들에서 윈도우에서 안되고 바이오스에 술도 안 보이더라고요. 다시 물리적으로 연결하면 보이긴 하는데 시간이 지나면 또 사라지는 경우가 있습니다. 그런데 하드디스크 안에 데이타는 멀쩡하고 드라이브가 안 보이는 것일뿐 참 이상한 정상인 것 같더라구요. 이러한 비싸 비슷한 증상이 있을 땐 어떻게 대처해야 될지 그리고 원인 무엇인지 생각해 봐야 하는데 다만 이러한 오류 증상으로 보이는 제품들로 인해 다른 부.. 이전 1 ··· 5 6 7 8 9 10 11 ··· 3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