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IT,인터넷

(256)
쿨러 장착 똑바로 안 되었을 가능성이! 양을 반나절정도 줄였는데 쿨러 장착 똑바로 안 되었을 가능성이 높아 보이더라구요. 인텔 정품쿨러는 발이 4개인데 완전하게 물려야 방열판 잡고 흔들어도 흔들리면 안 됩니다. 인텔 쿨러 장착법은 다시 한번 숙지하고 시도해보세요. 몇 번만 꺼지는 거 보니 쿨러 장착 문제일 가능성이 높아보입니다. 3월은 웬만하면 주문하면 되는데 차라리 며칠 전 밤에 주문했으면 더 빨리 받을 수 있겠지요. 어쨌든 쿨러 장착 다시 해보고 예전에도 부화가 없어도 코어온도 90도 넘는 건 쿨러 장착이 잘못 될 가능성이 높아보입니다. 너무 많이 선물을 발랐는데 처음에는 비가 오고 나서 부족한 것이 없이 발랐습니다. 컬러는 동영상으로 여러 번 보고 딱 소리가 나고 흔들리지 않게 장착한 것 같은데 온도가 더 많이 많이 올라가더라구요. 부팅..
아무래도 부팅 하는 시간에 대해서 예전에 부팅으로 위로하면서 서희야 할 거 생각했는데 2.55 가장 안정적이라고 이야기를 하더군요. 조금 신경 쓰이는 정도로 크게 불편한 건 없는데 바이오스가 지금 2.62 올라와 있긴 한데 업데이트 한번 해 볼까 생각 중입니다. 윈도우 10 uefi 모드로 설치하는 건지 모르겠는데 느려도 좀 느린 것 같더라고요. 아무래도 부팅 하는 시간에 대해서 많이 생각하는 사람도 있기 때문에 한번 점검해 볼 필요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uefi 모드인데 많은 사람들이 저와 같은 증상이 있는 걸로 보니 저만의 문제가 아닌 것 같고 지금 달려 있는 하드디스크 상태가 별로라서 계속적인 테스트 못 해봤습니다만 1분 30초에서 1분 40초 가량 측정이 됩니다. 하드 상태가 별로인 것을 알고 있기 때문에 그런 걸 감안하더라도 일..
모니터 케이블이 들어왔던 포장봉투 공구 했었고 인터넷 평도 나쁘지 않은 것 같아서 32인치 모니터 한번 설치해 봤는데 주문 후 다음날 받았으니 배송은 빠른 편이더라고요. 그런데 박스 열어서 모니터확인 아니 리퍼나 진열 상품 불량으로 반품된 거 재포장해서 보낸 걸로 의심이 되는 두 분도 있더라구요. 박스 개봉 한 적이 있는데 박스에 글자 쓰여진 테이프 위로 투명 박스 테이프로 다시 발랐고 투명테이프 만져 거 하니 파란색 테이프가 잘려져 있어 박스가 오픈 되어 있더라구요. 포장박스와 모니터에 표시된 체조 날짜와 시리얼 번호가 서로 다릅니다. 게다가 제조년월 자가 2018년인데 모니터 거치대에 사용한 적이 있고 모니터 받침대에 페인트도 벗겨져 보입니다. 모니터 케이블이 들어왔던 포장봉투 이거 모니터 메뉴에 보면 볼트 여섯 개 표시되어 있는데 ..
지금 모니터 사용하고 있는데 컴퓨터사양은! 지금 모니터 사용하고 있는데 컴퓨터 본체 사양 2 i7 8700 rtx 2060인데 윈도우 10 64비트 램 16기가입니다. 일단 게임은 어쌔신크리드 오디세이 툼레이더시리즈 그리고 나머지 각종 스팀 게임 하고 있습니다. 게임 하다가 화면 찢어진 현상 때문에 모니터 하나 장만하려고 생각 중인데 그러면 지금 사용하고 있는 것은 연두요리 되겠네요. 우선순위를 따지자면 티어링 방지하는 g 싱크 기능이 있는 모니터와 144hz 커브드 할까 말까 하는 생각 중입니다. fhd QHD 선택해야하는데 선택에 따라 포기할 수도 있는 것 같습니다. 이때까지 모니터는 대기업 것만 사용해 봐서 중소기업 것도 한번 고려해 볼 만하다고 생각이 들더라고요! 지금 사용 중인 모니터가 알파스캔이랑 삼성 사용하고 있는데 땡큐도 있고 다양..
해결이 안된다면 아무래도 윈도우 가능성도! 메인보드 뒷면에 있는 USB 인식이 안 되는 것 같은데 이런 경우가 처음이라서 여기저기 검색해서 알아보고 있는 중입니다. 보드가 h81mdv5 윈도우 버전을 윈도우 세븐 회사에서 사용하는 컴퓨터인데 다른 사람이 쓰던 걸 업무로 인계 용으로 받은 겁니다. 바이오스상에서 후면 무 USB 포트가 인식을 하는데 윈도우만 넘으면 후면부에 USB가 인식을 못 하더라고요. 그래서 현재 전면부 USB 만 사용하고 있는 상태이고 메인보드 칩셋 드라이버 USB 관련 업데이트도 모두 했는데도 해결이 안 되더라고요. 장치 관리자를 물음표 어떤 것도 없고 바이오스상에서 무언가를 잘못 건드린 것은 아닌가 싶어 디폴트 옵션으로 해봐도 요지부동입니다. 바이오스 디폴트설정 전원 코드 전부 제거하고 수인 건전지 빼서 초기화 한 번씩 해..
메인보드는 가지고 있는 모니터 입력 단자가~ 처음으로 조립컴퓨터 맞춰 볼까 하는데 워낙 라이트유저 이다보니 게임은 나누고 인터넷 서핑이나 영화감상 정도밖에 안 하게 되더라고요! 이번에 라이젠 2400g 내장그래픽 성능도 우수 해서 저에게 딱 맞는 것 같은데 메인보드 파워 서플라이 케이스를 어떤 식으로 선택이 해야 될지 잘 모르겠더라고요. 얼핏 들어보면 메인보드는 CPU 오버클럭 안 하면 a320 선택하면 된다고 하던데 브랜드도 여러가지 있고 파워는 사용 전력을 알아야 결정할 것 같은데 감을 못 잡고 있는 상황입니다. 그래픽 카드 없이 사용 할 생각이니 낮은 걸로 사도 될 것 같은데 확신이 안 서고 케이스는 무엇을 가야 할지 조절도 생각되지 가는 것 같습니다. 메인보드는 가지고 있는 모니터 입력 단자가 어떤 건지 확인하고 거기에 맞는 메인보드를 고르..
이상하게 하드 디스크 용량이 점점 차오르는 듯 하드 용량이 점점 차가 밀려 검색하다가 놀랐던 부분이 있는데 팔더라 사드가 어느 정도 밖에 안 난다싶어 너무 사실인가 싶었는데 맞는 것 같더라구요. USB 3.0인 것 같은데 설치해서 사용하는 분 있는지 모르겠는데 혹시 싸게 나온 건 그만한 이유가 있는게 아니라는 생각이 들기도 하고 사용해 보신 분들에게 대해서 관련된 거 어디 있는지도 제품에 대해서 도대체 왜 이렇게 늦게 나온 건지 궁금해지더라구요. 2대인 아마존 미국이라서 산것도 있지만 우리나라 조선이라서 다 비싼 것은 아니라고 생각하는 것도 있고 상대적으로 사업 보이는 효과가 있지 않을까라는 생각이 들기도 합니다. 두 개가 맞물려서 그런 건 줄 모르고 정상인데 보이는 것도 있을 거고 소음이 그리 크지 않고 디스크가 돌아가고 있구나 하는 정도로 소리만..
와이파이로 했을 때 10mbps라고 뜨는데 집에 인터넷 사용 하다 보니까 속도가 얼마나 되는지 모르겠지만 선으로 연결했을 때 와이파이로 했을 때 10mbps라고 뜨는데 원본화질 버퍼가 걸리더라구요! 제가 컴맹이라 잘 몰라서 물어보는데 보통 집에 인터넷 구조가 어떻게 되어있는지 모르겠더라구요. 멘션으로 연결해 쓸 때 PC가 10mbps 면적 공유기가 입출력 반응속도가 10mbps 일 하는 이야기인데 와이파이가 100mbps라고 해야 하나 2006 이런 스마트폰이 주고 받는 와이파이 속도이고 결국 속도로 공유기와 통신 해봐야 공유기가 랜선으로 외부와 10mbps로 데이터를 주고 받을 텐데 와이파이 10mbps 하고 해 봐야 내부 공유기와 통신 속도가 최대 10mbps 결국 인터넷 속도 보통 쉬는 날인 거 아닌가 모르겠네요. 공유기로 노트북이랑 연결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