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IT,인터넷

(256)
하드디스크 및 SSD 총합계가 두 개 이상이면 메인보드 이름 나오고 윈도우 표시 나오고 부팅을 진행되는데 윈도우 모양이 안 나오면 윈도우 프로그램이 고장이 난 건지 모르겠더라고요. 컴퓨터가 SSD 부팅 복구 한다고 그러던데 그후로 부팅이 안 되고 있는 상황입니다. 비슷한 경우 듀얼모니터 중에 한 쪽을 꺼 놓으면 아무것도 안 나오고 좀 있다가 바탕화면 나와서 뜨더라구요. 혹시나 하드디스크 및 SSD 총합계가 두 개 이상이면 cmos 들어가서 도티 우선 순서가 설치한 SSD HDD인지 확인해 보시길 바랍니다. HDD의 깔려있는 듯해서 HDD로 돌려 봤는데 안 되고 SSD도 안되더라고요. 윈도우 설치 모드로 들어가서 안전모드로 부팅 해 보고 안전모드로 부팅 한다면 시동복구나 나름 복구 CD로 해보시길 바랍니다. 그럼 이제 깔끔하게 재설치 하는게 좋은 방법..
SSD USB 연결 화면 정상으로 보일지! 최근에 TV를 PC 모니터 겸 설치했는데 4K HDR 지원하는 고용량 영화를 usb로 바로 연결하면 어떨까 싶어서 HDD를 하드독에 연결해서 usb로 연결해서 보니 뚝뚝 끊기더라구요. 이게 TV는 USB 2.0 지원 해서 느린건지 HD 로 느린건지 모르겠더군요. SSD USB 연결 화면 정상으로 보일지 테스트 해봐야겠습니다. 40기가짜리 4K HDR 영상을 TV로 돌려 본 적은 없어서 잘 모르지만 아무래도 TV에서 로딩 할 수 있는 영상 용량이 부족해서 그런게 아닐까 싶습니다. USB 2.0 지원 하더라도 영화 2시간짜리 40기가 로딩하면 초당 몇 메가 정도 못 할 건 없다고 보는데요. TV 애써 못 받아들이는 건지 다시 한번 알아봐야겠습니다. un49mu8000f 모델 사용 중인데 가끔 USB 2.0에..
10번까지 하는 경우도 있고 램이나 CPU 오버하고~ 램오버 있는데 hci 1200을 12개 켜서 몇 퍼센트 만하고 끊는데 기다리기 힘들어 게임 해도 될지 모르겠더라고요. 안정화가 아니고 그냥 잘 되는지 시험 있는 건데 오류가 애초에 날 거면 왜 돌려도 게임이 있어 나가니까 그렇게 생각했는데 cpu test 몇 번 정도 연속으로 해 보세요. RC 번호 3번 연속 통과하면 하고 게임을 했어도 한 번도 다운 된 적 없더라구요. 보통 5 번 하고 10번까지 하는 경우도 있고 램이나 CPU 오버 하고 조금만 마음 상해도 바로 멈추거나 재부팅 시켜 버리는데 다른 테스트 프로그램보다 비교적 빠르고 가볍다 하면서 실전에 가까운 것 같더라고요. 이상 빡치게 갈 필요 없어 보이기도 합니다. 안전화 준공후 에러 날 수도 있기 때문에 확률이 낮은 뿐이고 어차피 안정화 통과되면..
친구가 살 때만 해도 TV는 fhd 거의! 4K 모니터가 엄청 대중화 된 건 아니지만 어느 모니터 회사를 가든 4K 모니터는 있습니다. 대신 중소기업의 비에 비용적인 부분 해놓고 하지만 그만큼 품질에서 나 교실에서 차이가 있을 거고이 정도면 4K 모니터 대중화되었다고 생각되는 부분도 있지요. 50인치 UHD TV 모니터로 몇 년 정도 잘 사용하고 있는데 게임은 전혀 안 하고 웹서핑이나 영상 사진 정도로만 사용하고 편리하고 괜찮더라고요. 중고가형 TV 제품이라 확실히 디스플레이적인 특성도 괜찮은 것 같았고 게임이야 그래픽 성능 되는 대로 쓰면 되고 4K 대중화된 집계되었다고 생각되는데 친구가 살 때만 해도 TV는 fhd 거의 보이지 않았을 정도지요. 4K 40인치 지금 몇 년 넘게 사용 중인데 집이 좁아서 이 정도면 만족하는 거지 QHD 부럽지만 ..
이어폰을 돌려 보시거나 끼우는 깊이를 접촉이 잘 안 돼서 일어나는 문제가 아닐까 싶습니다. 한번 이어폰을 돌려 보시거나 끼우는 깊이를 이리저리 끼었다 빼면서 조절해보세요. 음량 최대로 때는 커지는 걸로 봐선 어느 접촉 순간에서 제대로 나오는 중간에 있지 않을까 싶습니다. 이어폰단자가 3극 4극 단자인 이어폰들이 있는데 헤드셋 마이크를 꼽는 단자 3극 용입니다. 사용하고자 하는 이어폰은 폰에서 사용하는 마이크 접지가 들어간 4극용이다 보니 접지면이 따라서 발생하는 현상이 아닐까 생각합니다. 그렇지 않은 제품들도 있다 보니 그런 현상이 발생하기도 하는데 사용하는 중에 이어폰 단자가 고장 되지 않는다는 불만이 있는 것으로 보아 접촉 단자에 문제일 수 있지 않나 싶더라구요. 상극과 4극 젠더를 이용하거나 상급용 이어폰을 사용하는 것인데 참고하시기 ..
친구한테 컴퓨터 관련된 이야기를 안 하게 되는게! 컴퓨터 부품으로 컴퓨터 조립해 준 다음에들은 이야기인데 케이스 및 SSD 당사자가 설치하고 윈도우 설치까지 해 주었는데 물론 지인한테 말이지요. 이상하게 컴퓨터로 돈도 안 받고 해 줬는데 윈도우가 이상이 생기면 as 요청 자주 나오고 10년 후 컴퓨터 이상 생겼어 나온 이야기는 이젠 제대로 된 곳에 컴퓨터 맞춰 따라 하는 이야기가 있더라고요. 한번인가 그런 이야기를 들으니 이상하기도 안 돼 요즘은 4세대 3세대 CPU 메인보드 ddr3 램 등 종종 생겨 맞춰 주긴 하는데 할 때마다 as 안 한다고 꼭 이야기를 확인합니다. 저도 몇 번 친구들 컴퓨터 해주고 그만두게 된게 평생 AS 요구하는 것 같더라고요. 심지어 몇 년 지나고 나서 게임 하는데 느리다는 돈 그때 좋은 걸 해 주지 그래 나는 그 이후로는 해..
하드디스크 문제이긴 한데 묘하게~ 나타나는 현상은 하드디스크 문제이긴 한데 묘한 현상 이더라구요. a라고 하는 SSD에 윈도우 10이고 b는 HDD 파티션 나누기 50은 HDD 파티션 없는 저장 용입니다. 이렇게 3개의 HDD 두 개랑 SSD 한개가 있습니다. 모두 크리스탈 정상이 뜨고 어떤 잘못된 센터도 없습니다. 한 개는 저장 용이라고 거의 분리해 놓고 정말 가끔 부쳤어 자료 만났습니다. a 와 b를 붙일 c에 윈도우 10은 부팅이 잘 되는데 62의 윈도우 10 부팅시 잘 됩니다. a 와 c를 호출 시 역시 윈도우는 잘 B 와 c를 72에 윈도우 도와줄 잘 됩니다. 문제는 여기서인데 ABC 동시에 세 개를 붙이면 문제가 생기는데 모두 읽기는 아주 잘 되고 B 6시로 자료를 옮길 때도 잘되고 세 개 모두 권한이 잘 읽고 쓰기는 됩니다...
32인치 fhd 쓰고 있을 거고 27인치 이상한 뒤로 QHD 100프레임 옵션 타이어 커버 한다해도 헝거 비상 가면 최대 200% 꼭 뽑기 힘들겁니다. 고주파열 모니터 쓰기 위해서 기본적으로 bag402 받쳐줘야 체감을 느끼게 되고 그 정도 보통 80에서 100프레임 안정적으로 뽑아 줄 정도는 돼야 의미가 찾을 수 있을 듯합니다. 사실 60에서 70 중후반 프레임 크다 차이를 못 느끼지요. 32인치 QHD fhd 차이가 제법 날 거고 단순히 PC 방대 주로 32인치 fhd 쓰고 있을 거고 27인치 이상한 뒤로 가는 걸로 생각하고 있습니다. 현재 사용하는 롤이나 몬헌만 놓고 보자면 사양으로는 80에서 100프레임 나올테고 몬헌 60프레임 가량 밖에 안 나오겠지요. 그럼 fhd 고 QHD 곡 165hz 의미가 없을 겁니다. 하지만 앞으로 나올 게임들과 나중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