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IT,인터넷

(256)
넉넉한 용량을 원하면 품질은? 파워는 적정 용량에 괜찮은 제조사의 무난한 제품으로 하시면 됩니다. 더 좋은 파워는 용량이 더 큰 파워가 아니라 실질적으로 더 좋은 부품을 사용하여 제대로 설계한 파워입니다. 넉넉한 용량을 원하면 품질은 포기하라는 식으로 하는 것이 고용량 파워이지요. 선택하신 파워는 700W 파워 퀄리티 이상을 기대할 것이 아니며 케이스와 더불어 현재 대비 가장 아쉬운 구성입니다. 같은 마이크 파워라도 더 나은 제품군 장만을 합니다. 내가 사용하는 용도를 잘 생각해보고 할것 파워 (600W 이상).
게임 실행하면 옵션 상으로 놓고, 전적으로 제 생각이지만..^^; 무난한 머니대와 무난한 안정성 꽤 괜찮은 사운드...머 이정도 지요. 전 사운드 땜시 샀지요. 사블이 거의 내장되다 시피에 혹해서리.. 물론 전문 카드가 더 좋을지도요. 총알 더 쓰시려면 초반대 나 처럼 왕창 비싼 보드를 사시던가..하시고, 한번 달아보시는 것도. 파워는 좀더 쓰세요. 좋지만, 하드용량이나 ssd용량을 보니, 상당히 거칠게 돌리실것 같네요. 허나, 2~3년 이따 냅다 새거 살꺼다..하시면, 본문 그대로 사셔도 무방합니다. 아니..본문 그대로 하시길. 그리고 아이들이 전력소모 재는건 의미없습니다. 게임용 컴퓨터 사놓고 아이들상태 놔두지 않잖아요. 게임 실행하면 옵션 상으로 놓고, 로드 가깝게 옵션 끌어올려서 쭉쭉 땡기잖아요. 설마 상옵되는 컴퓨터 놓고, 전력..
인코딩후 나중에 인코딩된 파일을 합치는 방법 시간은 걸리기 마련입니다. 쬐끔이라도 더 빠른 속도를 원하시면 끊으시고(엄밀히 얘기드리면 웨어 사용금지) 그리고 작업관리자에서 프로세스탭에서 인코더 프로그램의 우선순위를 맨 앞으로 끌어땡기시면 약간이나마 속도가 올라갈수 있습니다. (저는 그렇게 해서 약간의 효과를 봅니다...) 단, 이 경우 경고창이 뜹니다. 1, 문제가 생길수 있다고 말이죠. 그거 감안하실거면 시도해 보세요. 지금 저 속도가 정상이라는건가여? 음... 정상같진 않아보이지만 수 분내로 끝날거 같은 영상은 아니라는 느낌입니다(그런 의미에서의 말입니다) 그리고 설정에 따라서도 시간이 다를수 있으니 저장된 프리셋을 이용해서 한번 체크해보시고요. 사용자 프리라 적혀있으니... 아마 따로 지정해서 하신거 같으니 말이죠. 일반인은 이런 고화질 인코..
겜할때, 혹은 인코딩할때나 차이날까? 그냥 취향임, 그리고 오버가 장점만 있는것도 아니고, 오버잘되고 문제없고 수율좋은 것들 알아볼것도, 어케어케 설정하면 오버 잘되는지 여기저기 알아보고 공부하는것도! 오버로 뜨거워진 코어 식혀줄려고 사제쿨러등 더들어가고요. 말처럼 전기료도 좀더 들게 되고요. 최근 나오는 기본스펙이 뛰어난 씨퓨들 오버안하고 써도 거의 차이도 없슴. 큰 프로그램이나 겜할때, 혹은 인코딩할때나 차이날까. 과거때 fsb 오버 할때나 해당하는 사항이지 요즘은 해당사항 없습니다.
본체에 들어가는 팬이 그냥 케이스에 달린 팬이라면 최적화가 별로인경우 어느구간에서 프레임이 일어날수있고 서버렉도 있을수있습니다. 패키지게임에서 풀옵에 문제가없는데 온라인게임엔 문제가잇다면... 게임의 최적화문제아닐까요. 특별히 돈 들일데가 없어 보입니다. 지금 쓰시는 사양으로도 지금 나오는 게임들 충분히 풀옵에 준해서 돌릴만합니다.....만약 여기서 바꿔서 체감을 느끼실려면....돈이 많이 들겁니다. 만약 시퓨를 오버하지 않으셨다면 오버를 해보십시오. 은근 오버가 잘되는 제품입니다.. 세컨피시를 I5 760 쓰고 있지만 3.6-8정도는 기본쿨러로도 할만합니다.. 좋은거 쓰시고 4.0 이상 땡겨주심 확 체감이 될겁니다. 고사양 온라인게임을 옵션다키고 풀옵 렉없이 돌릴려면 싹 바꿔야될듯 cpu영향이커요 하스웰로 가세요. 딱히 바꿀께 안보이는데 흠이라면 CP..
호환성은 문제없는데 게임을 할려면! 램은 안정성에 성능은 몰라도 안정성에 있어서 램이 쵝오죠. 어떤 메인보드는 램 말고는 잘 안받아주는 메인보드도 드물게 있을 정도입니다. 메인보드는 개취일거 같고.. 외장글카 추후 업글 예정이라면 파워를 400w 하면 안되죠!! 절대로! 롤은 문제가 없지만(생각보다 엄청난 최적화?&저사양 게임) cd게임 어떤 것들을 말하는건지.. CPU 저가격이면 인텔제온 급으로 가도되지 않나요...1230v2, v3로,,아니면 i5. 호환성은 문제없는데 게임 하실려면 그래도 인텔이 낮죠.. 7850K랑 R7 240/250 로 멀티그래픽 구성하는 것도 차후에 한 방법이 될 수는 있습니다만 어짜피 게임에서 멀티그래픽 지원 안하면 말짱 꽝에다가. 겨우 50 수준이던가..근데 이럴거면 그냥 속시원하게 i5에 보급형 외장 글픽으..
게임용 CPU? 소비전력 이외에 성능 차이는 미미하다! 지금은 최신 모델이라고 i5 4670이 잘 나가곤 있지만, i5 2500(95W) 3570(77W) 4670(84W) 소비전력 이외에 성능 차이는 미미하죠. 2500 에서 4670 또는 3570에서 4670으로 바꾸면 옆그레이드도 아니고 그냥 같은 성능에 보면 되죠. 대부분의 쿼드코어 이하를 지원하는 게임에선 i5-4670이 더 좋은 결과가 나옵니다. 일부 8쓰레드 이상을 지원하는 게임은 i7이나 2011소켓 제품에서 더 좋은 결과를 보여줍니다만.. 해당 하는게임은 거의 없는 편이고요, 3way cf나, sli 를 해서 그래픽 빨로 더 좋은 결과를 보여줄수 있긴 합니다만, 일반적으로 잘 쓰이진 않겠죠. 게임하시려면 cpu는 적당한거 사면되고 글카를 좋은거 사야됩니다. (특정 CPU 많이 먹는 게임 아니면..
HDMI와 규격이 비슷한게 햇갈리실수 그럼 이거랑 요즘TV 단자랑은 연결이 안되겟군요 ?? .. 한쪽은 hdmi미니 한쪽은 보통 hdmi인 케이블 사시거나, 아님 미니hdmi to hdmi아답터를 사시면되죠. MHL단자라고 해서 스마트폰 화면을 TV화면에서 볼수 있는 기능을 뜻하는거 같습니다 MHL검색하시면 많이 나옵니다... HDMI주제에 별애별게 다있네요 버전차이만 바껴 나오는줄 알았드만. 연결해서 뭐 하실려고요? 케이블 긴거 쓰시는 것보니까 모니터 대용으로 쓰시는 것도 아닌 것 같고.. 그냥 영화 재생용이면 컴퓨터로 받은거 usb로 옮겨서 티비로 재생하는게 더 편하고 낫습니다. 혹시나해서 남기는데 mini DP 일수 있습니다. DP(display port) 입니다. HDMI와 규격이 비슷한게 햇갈리실수 있습니다. 저도 TV랑 연결할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