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IT,인터넷

(256)
로그파일 생성 하시면 자동으로 기록 씨피유는건드린적없었구요. 본체쿨러들은 다돌아갑니다 ..ㅠ. 뭐가문제일까요? 자동 재부팅이 아니라면 글카 문제겠지만 지금까지 내장 글픽을 사용 하셨기에 디아3는 안하셨을것 같은데요. 내장으로 하셨다면 cpu문제는 아니겠네요. 일단 디아3를 창모드로 설정 하시고 gpuz를 켜놓고 온도를 체크해 보시기 바랍니다. 로그파일 생성 하시면 자동으로 기록이 되지만 컴퓨터가 멈춰버리면 기록이 안될수 있으니 실시간으로 눈으로 확인을 해보셔야 할겁니다. 그리고 평균적으로 얼마정도 플레이 하시다가 찍 하면서 멈추던가요? 아! 정확히 화면이 멈추는건가요?(일시정지처럼) 아니면 화면이 나가는건가요?(검은색, 꺼짐) 파워 문제일수도 있기때문입니다. 자동 재부팅되었서요. 이렇다면 그래픽카드문제인가요? 온도체크하는걸로 딱꺼질때는못봤..
자칫 쿨러가 역방향으로 돌아버리면? 접점 부활제인데 스위치류가 잘 안 눌러 질 때 충분히 뿌려주면 살아납니다. 구형 아이폰 홈버튼 문제 있을때 뿌려서 살리기는 경우도 있었죠. 그런데 전체 pc 청소에는 적합하진 않아요. 예를 들어 쿨러 부위에 뿌려 버리면 내부 윤활 성분을 씻어내는 효과가 있기 때문에 쿨러 수명이 급감합니다. pci 슬롯 부위라던지 램 슬롯등 접점이 있는 부위 한정으로 사용하는게 효과적이죠. 마우스 스위치에 사용하면 살아 나기도 하고 여러모로 가지고 있으면 쓸대 많더라구요. 치익~ 후다닥 ㅋㅋㅋㅋ 저는 블로워를 사용합니다. 한방에 PC안에 있는 모든 먼지를 날려주거든요. 다만 실내사용 불가라는 단점이... 진공청소기가 무난하고 좋긴 하지만 쿨러를 꼭 손으로 돌아가지 않게 고정시킨 후 흡입해야합니다. 자칫 쿨러가 역방향으로 ..
단지 부하가 어떤지 전혀 모르는 상태 스위치 같은 녀석으로 쓰시는거면 별 상관없겠죠.. 다만 50A는 차단기의 제 역할은 못하겠죠..어차피 뭔 일 생기면 30A에서 다 걸릴테니.. 그럼 메인도 50으로 바꿔줘야 하나요? 2차측 차단기에 뭘 설치하실꺼냐에따라 좀틀린데요. 메인이 30이면 2차측에는 누전차단기 20짜리 2개달아서 분배하세요. 배선용을 좀 화제에 위험하지않나요? 꼭 50으로 바꾼다기보다는 그들의 말씀대로 30A이후 부하의 차단용량을 우째 설계했냐에 따라 달라지겠죠.. 만약 30A 녀석이 자주 떨어져서 위와 같이 구성하시는 것이면 50A를 메인으로 쓰시고 원래 있던 30A 차단기와 같은 녀석으로 하나 더 구해서 50A 이후로 부하를 분기하는 것이 가장 좋겠죠. 이건 단지 부하가 어떤지 전혀 모르는 상태에서의 의견이니까 참고만 하시고요.
연결이 된 무선랜 어댑터에서~ 그냥 ap와 무선랜 카드를 사서 쓰시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스맛폰 있으시면 스맛폰으로 공유기에 무선으로 연결시켜놓고, 스맛폰을 USB 테더링으로 컴터에 연결하심 됩니다. 이런식으로 하면 됩니다. 아래에서는 A-1 이 무선인터넷이 되겠죠. 그런데 이 방법으로 노트북 유선과 데탑 유선을 연결하려면, 랜선의 1,2번과 3,6번이 서로 교차된 크로스 케이블이어야 합니다. 인터넷 연결공유 기능이네요. 노트북에서 제어판 - 네트워크- 어탭터 설정변경에 가시면 유선랜 어댑터와 무선랜 어댑터가 보이실겁니다. 연결이 된 무선랜 어댑터에서 우클릭 속성에 들어가보시면 공유라는 탭이 보일껍니다. 거기에서 인터넷 연결공유 에 체크 할수 있는거 하시면 어댑터를 선택할수 있습니다. 거기에서 유선랜 어탭터를 선택해 주시면 됩니..
SSD에 가상메모리 설정하면? 비슷한 경우, SSD에 가상메모리 설정하면, SSD에 무리가 올까요?? 하드가 있으시면 하드에 가상메모리 설정하시는게 나을것 같네요. ssd 쓴다고 가상메모리 0으로 설정라는 최적화는 과거 초기 ssd에 트림 안되는 xp 쓰던 시절에나 하던거고요. 그냥 윈도 설정대로 혹은 최소,최대값을 똑같이 설정해서 사용하면 됩니다... 과거 ssd의 경우 용량도 적었고 트림이나 gc기능등 수명 관련해서 문제가 있었기에 조금이라도 쓰기작업을 최소화하려고 그런거였죠. 요새는 상관없습니다. ssd 최적화란게 정말 옛날 이야기고요. 요즘은 용량 처묵하는 것만 크면 되는데, 가상 메모리는 활성화 시키는게 좋습니다. 안그러면 오류화면을 좀 보실꺼예요. ssd에 램8기가에 가상이 저는 0입니다. 오만게임들 다해왓지만 5년째 아무..
용량이 커서 하드공간을 많이 차지함 이렇게 준비하시고 부트캠프 프로그램 실행 시키고 먼저 윈도우에 사용될 부트캠프 USB만드시고, 다음 하드(SSD) 원하는 사이지로 분할 하시고 윈도우 부팅 디스크 꼽고 재부팅되면 그 뒤는 일반 위도우 설치와 별반 다를게 없습니다. 다만 한가지 주의 할게 하드 디스크 분할할때 용량을 한번 결정하면 바꾸기가 아주아주 귀찮으므로 잘 생각 하셔서 바꾸세요. 맥 프로그램들이 생각보다 용량이 커서 하드공간을 많이 차지 합니다. 그리고 윈도우 설치 끝나면 만들어 두었던 부트캠프 USB 넣고 설치하면 끝입니다. 부트캠프는 그냥 기본기능입니다. 설치방법. -CD슬롯이 있는 구 맥북프로는 usb설치가 안된다네요. cd로 설치해야합니다. -에어나 신형 맥북프로는 USB로 설치해야합니다. iso파일 맥북으로 옮기고 부트캠프 ..
전선 어디 피복 벗겨진데 있는지 확인하기 아아.. 제가 말주변이 없어서요. 윈도우7 64비트 입니다. 예전 깔았던 똑같은시디로 밀기만 한거구요... 전선 어디 피복 벗겨진데 있는지 한번 살펴보세요. 컴퓨터가 문제라기 보다 전선문제일 가능성이 높을것 같네요.. 멀티탭을 접지 기능 잇는걸로 바꾸세요; 누군가의 말씀대로 접지 멀티탭 하나 장만 하시든가 .아니믄 얇은 전선 짧은거 암거나,,, 구해서 컴터 후면에 전선을 까서 암데나 감으시고 벽체에 못이나 기타 피스 하나 박으시고 전선 반대쪽감으심됩니다. (접지) 멀티탭은 보호기 멀티탭 인터넷 검색창 치믄 나와요.. 저도 요고 쓰는데 싸고 괸찬은거 같습니다.. 전선 피복 벗겨 진거 있나 확인 해보시고 모르겠다 싶으시면 컴 점검 받아보세요.. 전기가 누전이 되는 듯 합니다. 접지를 하시려면 우선 접지선이 ..
하드디스크가 가장 의심스럽긴 한데? 3DPchip으로 드라이버 버전업 잘 되어 있는지 확인하시구요. 다른 이상이 없다는 가정하에 조심스럽게 하드디스크 사망을 의심해봅니다. 드라이버는 전에 그걸로 업데이트한 적이 있습니다. 저도 하드가 가장 의심스럽긴 한데 잘 모르겠네요. 혹시 사용한 적 있으시면 그리드 관련프로그램으로 찾아보세요. 말고 작은 업체들은 거의 있을 겁니다. 한마디로 컴을 서버로 사용하는 겁니다. 네트워크 최대 속도로 업로드가 거의 항시 이루어져서 네트워크 느려지는 것은 물론 하드 스왑도 심하고 리소스도 차지합니다. 일단 네트워크 풀업로드 중이라면 '작업관리자-성능-리소스 모니터링-하드'란 보시면 하드 읽어들이는 프로그램이나 서비스 찾을 수 있습니다. 서비스 중지하거나 프로그램 삭제하면 됩니다. 그곳에서 하드 읽고쓰기 정보를 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