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IT,인터넷

(256)
물리적으로 부수는게 가장 좋은 방법? 불태우는건 안될까요? 폐차장 같은곳에서...눌러서 물리적으로 부수는게 가장 좋은 파기 방법입니다.. 프로그램등으로 지운건 별로 소용이 없죠; 망치로 디스크가 찌그러 들정도로 패시면 됩니다. 디스크 원판이 기밀이 아닌이상 복구 못합니다.. 패대기 쳐서 안에 핀이 빠지면서 디스크에 스크랫치 내면 됩니다. 이건 죽었다 깨나도 복구 못함... 저도 스크래치 내서 버리는데 이게 제일 나음.. 물뿌리고 전자렌지 돌린 다음 물리적으로 파괴..하하 농담입니다. 위험하니깐 ㄴㄴ 전기드릴에 기리 끼워서 빵꾸네요... 하드디스크는 진공 상태로 돌립니다. 한마디로 방수가 된다는거죠. 불태우면 어떤것도 못견디갰죠. 제가 하는 방법.. 하드디스크를 십자드라이버로 연다... 뚜껑을 연다. 이때 망치가 필요합니다. 일자대고 망치로 ..
부팅 도중 블루스크린을 띄우더군요.. 제 친구랑 친구 동생이 쓰는 컴퓨터가 하나는 블루스크린(gtx 460) 하나는 계속 재부팅되는 현상이래서 봐줬습니다. 재부팅되는건 내부 먼지청소+부품 뺐다 재결합+램 지우개+윈도 재설치로 해결봤고요. 460 블루스크린은 hp컴인데 복원해도 문제고 해결이 안되서 최후로 방열판 뜯어서 청소(먼지 장난 아니더군요ㄷㄷㄷ)하고 써멀이 굳었길래 재도포해줬더니 문제없이 잘됩니다. 일단은 먼지청소해보고 써멀 재도포해시길 바랍니다. 살아난다는 보장은 없지만 어려운 작업도 아니고, 해보는데까진 해봐야죠~ 에러가 좀 여러가지인데 먼저 구버젼의 드라이버와 새로운버젼의 드라이버와 충돌이 나서 일수도 있으니 해당 드라이버를 완전히 삭제를 하시고 다시한번 새로설치하시기바랍니다. 간혹 드르륵 거리며 화면이 멈추는 경우는 드물게 있었..
앞으로도 사용할 모니터 바꿔야 하는데.. 이글보고 오해하실까봐 글달아요.. 소비자과실은 무상안됩니다.. 저도 그일 인터넷으로접했는데.. 사무실직원들이 운영비남는걸로 자체적으로처리 물건보내준겁니다. 그만큼 서비스가좋다는의미로 받아들이시면될것같습니다.. 전에 저도 스캔 a/s 관련 글 올렸는데, 어떤분이 저보고 혹시 스캔 직원 아니냐고 하시더군요;; 저는 그냥 있는 그대로 말했을뿐인데.. 기업 보다 a/s, 고객응대 좋은게 스캔입니다. 기업 as 좋다는거 이해를 못하겠네요. as규정 같은게 엄청 타이트해서 왠만한건 다 고객책임이고, 또 as 하면 부품교체 꼭 필요하다고 해서 부품비 받아가더라구요. 스캔 측에서 택배 다 보내줍니다. 고객이 택배 신청 할 필요가 없죠. as 신청 해보신 분이라면 거진 만족 하실것 같네요.. 질소가스를 팍팍넣어서 보내달..
1~2달 주기로 본체 먼지청소만! 9550이 워낙 잘 나온 모델이라 햇수로 7년이나 쓰고 있어요. 9550@4.02로... 사용 중일 때는 고사양 게임도 하고 영상편집도 하고 조금 혹사시키는 편이구요. 이사 가는 날 하루정도씩 빼고는 끈 적이 없어요. 안타깝게도 너무 학대를 했는지 파워는 1년 전에 한 번 죽어서 750w로 교체했구요. 청소라고 하긴 좀 그렇지만 일주일에 한 번씩 눈에 보이는 먼지만, 청소기로 대략 30초 정도 쓱 빨아들이는 정도는 해줘요. 몇 년간 절전도 없이 사용해도 문제 없는데 12시간 정도면 10년도 넘게 쓰지 않을까요? ^^; 웹서핑이 7할이시면 전혀 문제없겠는데요. 1~2달 주기로 본체 먼지청소만 제대로 해주세요. 쓸데없는 걱정입니다.. 지금까지 계속 정품박스를 동봉해서 보냈다면, 박스가 남아 있을리가 없죠..
오래걸릴꺼 예상하고 밤에 자기전! 오래걸릴꺼 예상하고 밤에 자기전에 물렸는데.., 자고일어나서도 포멧이 진행중이라 놀랬다는... 개인적으로는 퀵포맷이 시간 상 편할껍니다. 첫번째, 모든칩이 동일한 반응을 보이지는 않습니다 다만, 최소프레임 급락은 거의 모든칩에서 발견됩니다.. 단순히 RAM포화로인한 프레임하락과는 차원을 달리합니다. 두번째, 개발자가 인정한 PS와 L2케쉬의 커팅은 스팩표기에서 완벽하게 빠져있습니다. 3MM이 빠지는데 동일아키택쳐에서 OP가 살아있는것이이상하다고 들했었는데, 이게 현실이 되어있었습니다. 생각에 속하지요.. 그리고 1080P급에서도 일부 3.5GB이상의 RAM을 먹는 게임들이 있는데, 여지없이 최소프레임급락을 나타냅니다. 이건 쉴드칠수가 없어요..
나중에 파워 나가면 다른것도? CPU/GPU 오버클럭 환경에서도 970 + 마닉 500W 충분합니다. 970 비레퍼군의 전력 피크수치는 200 ~ 220 사이를 오가는데.. 500w짜리가 그정도를 버티지 못한다면 그건 뻥파워라고 할수 있죠.. 클래식2라면 이미 벤치상으로도 검증이 된 보급형군 중에서도 중상위라인이기때문에 문제 없습니다. 여기 있는 사람들 다 거짓말이요. 그 사양으로 못돌려요. 몇만원 짜리는 쓰시지 마세요. 정격 350W 입니다. 그리고 몇원 이상짜리를 쓰세요. 골드 인증 받은걸로 사시면 되겠네요. 나중에 파워 나가면 다른것도 아예 망가 질수도 있어요. 하나더 그래픽 카드 사이즈 장착이 몇인지 보고 사세요. 케이스는 미들타워는 작은 사이즈에 안맞을수도 있어요. 선... 모르시면... 그냥 가만히...;; 500와트 중에..
그때 그냥 새로 사는게 최선일듯! 램이 8기가는 되야 쓸만합니다. 거의 4기가를 다먹고있네요. gt 시리즈 가지곤 인터넷도 버벅임! 스타터링으로 인한 렉을 말씀하시는거죠? 프레임드랍, 스타터링, 티어링 모두 프리싱크와 지싱크 모니터 출시로 인해 끊김과는 작별하실거에요. 하하.. 고사양 게임 안하는 이에게 저런 거 의미없죠. 필요할때 사야되는 것. 그외엔 낭비죠! 외장메모리하나 사셔서 보물들은 따로 저장해보시는게? ㅎㅎ 500기가 하나 쓰고있는데 그 친구도 꽉차있네요. ㅎㅎ 조만간 브로드웰 나오면 그때 그냥 새로 사는게 최선일듯 합니다. 뭔지를 몰라 검색해보니 cpu네요. 근데 최신 cpu는 가격이 부담스러워서요.ㅠㅠ 이왕 사는거 조금 비싸게 사고 오래쓰는게 정신건강에 좋아요. ㅎㅎ; 괜히 싼거 사다가 자꾸 업글하는 비용도 만만치 않구요..
동영상 검색해 보시면 아시겠지만? cmos 고속 or초고속 부팅쓰시는분들일거같네요. 바이오스 진입 대기도 메인보드에 장착된 디바이스를 빠르게 읽어내면 몇초 안걸려요. 메인보드가 제대로 디바이스를 검색 못해서 시간이 늘어지는거임. 그리고 윈도 로고도 안뜨고 바로 바탕화면 뜨는 사람도, 난 그말이 아니고 바이오스 진입하고 싶으면 F2 키 누르라는 메뉴를 말하는거임.. 같은 말입니다...; 컴퓨터 전원 버튼을 누르고 바이오스가 디바이스를 인식해서 출력하는 화면이 지나가면 윈도우 로고가 나오죠. 이때 디바이스 인식이 잘 안되면, 그걸 재확인하기 위해서 시간이 늘어난다는 이야기예요. 하드 케이블이 제대로 안 꼽혀있던가? VGA카드가 약간 들려있다거나.. 이러면.. 작동은 하지만 부팅이 오래걸리는 일도 비일비재라서.. 그리고 이러한 하드웨어가 인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