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IT,인터넷

(256)
아날로그만 잡히고 디지털을 안잡힌다고! 아마 특이한 장소에 이렇게 물어야 할 것 같습니다. "HDtv가 있는데, 다른 방 동축 케이블에 이 TV를 물리면 '지상파 HD채널은 볼 수 있느냐, 물론 전제는 각 방끼리 동축 케이블이 손상되지 않고 다 연결되어 있다는 전제로 말입니다. 지상파 HD채널을 볼 수 있다고 답한다면 TV수신카드로는 당연히 볼 수 있는 거죠. 무조건 셋톱 박스를 달아야 한다고 하면 도대체 얼마의 요금을 내라는 말인지? 무슨 위성방송도 아니고.. 말씀드린 대로 다른 방에서 셋톱박스 없이 일반 디지털 tv로 KBS,SBS를 볼 수 있는지 없는지 부터 한번 통화해서 따져 보시기 바랍니다. 다른 동네 (의정부를 예로 드세요.)는 다 되는데 왜 이 동네는 셋톱박스를 설치해야하는 건지! 제가 했을 때는! 벽단자에 있는 케이블을 동축케이..
처음으로 컴퓨터가서 사서 집가져와서~ 어느정도 공부 하시려고 한계가.. 조합이나 호환등 핑계 생각나면 다른데 컴퓨터 부품 보고 똑같이 하셔도 됩니다. 아 그런방법이 있었군요 감사합니다. 컴퓨터중에 궁합좋은놈 본적이 없습니다. 구성똥망인경우가 백개중에 99개... 제가 중학교떄 처음으로 컴퓨터가서 사서 집가져와서(양팔알배김...) 조립한기억이나네요.. 컴조립정말쉬워요. 진짜 한번만해보시면. 그리고 같은문제들이야.. 여기도있고.. 다른데도 있고.. 네이버 지식인도있고.. 도움받을수있는 곳은 많구요. 부품간 호환? 제품이 더 안맞는경우 많습니다. 제품을 그나마 모르는사람들이 쓰기 좋은건 AS하나죠.. 그냥 거기꺼면 전화하면 통째로 알아서 해주니... 조립의 경우는 부품하나 하나 AS받아야 되는게 문제긴 하구요.. AS문제 빼면 호환성 부분은 조립..
충전도 되지 않는 배터리만 빼면! 뭐 크게 걱정하실 온도는 아닌것 같긴한데.. 아예 신경 쓰고 싶지 않으시면.. 그리고 처음에 컴퓨터 킬때 비행기 이륙소리 싫으시면 겸사겸사 넵트윈수준의 쿨러정도만 가도.. 과분할정도죠. 그러고보니 소음도 있었죠.. 그냥 하나 사다가 달아야겠네요. 랩꺼 저도 쓰고있는데 상당히 만족하면서 쓰고있답니다. 써멀구리스 도포해보시고 그래도 온도가 높다고 생각되시면 그 때 바꾸세요. 10도 이상 내려갈듯... 무소음은 기본이구요... 09년에 장만한 노트북 아직도 사용하고있어요....ㅎㅎㅎ 얼마전에 업글해서 쭈욱 사용하려고 합니다. 업글하는데 비용이 어느 정도 드셨나요? 그리고 지금 사양이 어느 정도에요? 10년 넘는 노트북도 내부 건전지 소모로 날짜 초기화 되는 것하고,, 충전도 되지 않는 배터리만 빼면 지겨울 정..
값을 지정해서 내 맘대로 MAC을 설정 거기에서 192.168.1.1에 접속하셔서 변경해보세요. 상세한 설명 고맙습니다. 폰에서 인터넷 접속해서 했는데 폰도 안뜨더라고요. 그래서 와이파이 끄고 4g로 접속해서 해봤는데도 안되고.. 어쨌든 남기신 글을 인터넷으로 찾아봐서 해보겠습니다. 장치 관리자 들어가서 보니 네트웍 어드레스 부분이 없음으로 돼있는데 이거 때문에 그럴까요? 원래 없음이 디폴트입니다. 윈도우에서 따로 변경하지 않겠다는 설정이지요. cmd창에서 ipconfig /all 해보시면 원래의 디폴트를 볼수 있습니다. 그런거와 관계없이 값을 지정해서 내 맘대로 MAC을 설정 할수 있습니다. 기본게이트웨이가 ???.1이면 ???.1로 들어가 보세요. 어떤 공유기는 주소창에 아이피 주소외에도 포트번호를 값이 적어줘야 설정창으로 들어가지는 경우..
이사하면서 충격 때문에 메인보드의 CPU핀이 휘어짐!! 올바르게 조립했다면 연결부위들을 다시 조립합니다. 보통 이렇게 하면됨. 증상이 파워가 꺼졌다 켜졌다 하는건가요? 모니터 출력 안되고? 파워는 몇 와트 짜리 안가요? 동영상만으로는 상황판단이 어려운데요. 모니터 전원은 들어오지만 화면이 안나온다면, 혹시 모니터와 본체 연결 케이블을 내장쪽에 꽂으신건 아닌가요? 그래픽카드가 따로 있다면 그래픽카드쪽에 꽂아야 정상 화면 출력이 되거든요. 그렇게 꼽았습니다~ 정상->증상,, 모니터 전원은 코드를 꼽았으니 당연 들어오는거고, 화면이 안나온다는건 그래픽카드에 제대로 연결을 못했으니 안나오는거죠. 덕분에 고쳤습니다. 증상으로 그리고 그래픽카드에 제대로 꼽았습니다~ 컴퓨터 재부팅이 반복되는 증상은 크게... 1.CPU와 메인보드 사이의 접촉불량(핀 쇼트 등) 2.메인보..
500W로 충분한 시스템에! 500W로 충분한 시스템에 500W 골드급 파워보다, 저렴한 700W 파워가 더 좋다는 생각을 하는 소비자들은, 전세계에서 소비자들이 유일할 겁니다. 당장에 커뮤니티 아무 곳이나 가서 파워 원한다는 글 작성해보세요. 500W로 충분한 시스템에 특정 제품 500W 선택하면, 같은 시리즈 600W를 업그레이드랍시고 하는 글이 적지 않아요. 이런건 업그레이드라고 볼 수 없죠. 더 나은 퀄리티의 적정용량 제품을 하는 것이 업그레이드이지, 대동소이한 품질에 필요 이상의 W를 효율 들먹이면서 하는 것은 별로 마땅한 의견이지요.
물건을 일단 돌려 주었더라도! 거기신고전 HDD를 지금 돌려주겠다고 하면 절도가 아닌가요? 많은 분이 당하신듯.. 신고해도 됩니다. 물건을 일단 돌려 주었더라도 절도행위는 행위니까요. 대신 처벌수위는 낮아지죠. 하여간 아는 사람이 더 무섭다니까요. 대단하네ㅋㅋ 있던 하드까지 꿀꺽하고, 당신하고 거래 못하겠으니까 하드 내놓고 가져가라고 SSD 주고 돈 돌려받으세요. 싫다면 경찰에 신고 하시구요. 근데 신고한다해도 증명할 방법이 있나요? 스스디 한개 달아주고 대략 10마넌 가네요 (절도한 하드포함) ssd는 공임비도 생각해야하니 뭐! 그렇다쳐도..하드가져간건 아닌듯!
가장 확실한 수단은 SSD로 업그레이드 하면! 가장 확실한 수단은 SSD로 업그레이드 하면 실제로 많이 빨라집니다. 두번째로 좋은 수단은 Ram을 8기가로 업그레이드 하면 확실히 여유로워집니다. 둘다 한다면 금상첨화입니다. 특히 성능이 낮은 허접한 SSD로 바꾸더라도 확실이 달라집니다. 요즘 램이 8기가 없으면 안도는 게임들이 나왔습니다. 지금 하드디스크는 HDD 를 사용하시는지 아니면 SSD 를 사용하시는지는 모르겠으나 만약에 사용하고 계시지 않다면 SSD를 고려 해보는게 좋지요. 말씀대로요. 체감 확실히 느껴지죠. 그리고 메모리는 보통 8G로 가는게 좋습니다. 제가 배틀4를 한창 즐기고 있는데 8G였을때 메모리 점유율 48% 차지 했었거든요. 근데 4G라고 했을시에 차지하는 비율을 따지면 뭐 버벅거리지 않을수 없겠죠? 램 8기가로 업글하는게 좋을..